본문 바로가기

ECONOMY/부동산 소식

다가구 다세대 차이 주택 외관은 비슷하던데

반응형

다가구 다세대 차이 주택 외관은 비슷하던데

우리나라에서 주택은 여러 가지 형태로 나뉘어 있답니다.

 

특히 다가구 주택과 다세대 주택은 겉으로는 비슷해 보이지만, 중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

 

이 두 주택 유형은 모두 여러 세대가 독립된 주거공간을 가지며 거주하지만, 구분 기준은 건축물대장과 부동산 등기부등본을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 차이를 한번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겠습니다.

 

다가구 주택

1. 정의: 다가구 주택은 단독주택으로 분류되며, 건축주가 단독 소유합니다.

 

2. 구조: 3개 층 이하로 건축할 수 있으며, 가구 수는 19세대를 초과할 수 없습니다. 다만 1층에 전부 또는 일부 공간에 주차장을 만든다면 4층까지 건물을 건축 할 수 있습니다.

 

3. 소유권: 건물과 토지에 대해 2개의 등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일 소유권을 가집니다.

 

따라서 여러 가정이 거주하더라도 1주택으로 간주되어 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4. 임대 형태: 일반적으로 한 채의 주택을 소유하고 아래층에 월세나 전세를 주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입신고시 건물주소만 맞으면 각 세대의 호실이 맞지 않더라도, 확정일자 등 대항력을 갖추는데 문제가 없습니다.

다세대 주택

1. 정의: 다세대 주택은 공동주택으로 분류되며, 각 호실마다 독립된 소유권이 존재합니다.

 

2. 구조: 바닥면적 합이 660㎡ 이하이며, 4개 층 이하로 건축할 수 있습니다.

 

지상 1층을 필로티로 구성할 경우 외관상 구분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소유권: 집합건물 구분등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호실마다 소유권 보존 등기가 기록됩니다.

 

다가구 다세대 차이 중요내용은 다가구 주택이 단독주택인 반면, 다세대 주택은 공동주택이라는 점입니다.

이 둘은 건설을 하기위해 두가지 중 선택을 해야 하기 때문에 겉으로 보면 사실 차이를 구분하기 힘들답니다. 

그래서 꼭 등기부 등본을 떼어보셔야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어, 부동산 등기사항전부증명서와 건축물대장을 열람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겠습니다.

다가구 다세대 차이 주택 외관은 비슷하던데

반응형